반응형 경제상식45 브레튼우즈체제 붕괴, 닉슨쇼크, 석유파동, 폴볼커 브레튼우즈체제 붕괴! 그리고 닉슨쇼크 세계경제를 이끄는 중심국가가 된 미국은 마셜플랜을 통해 유럽재건에 막대한 지원을 했고 세계 각국의 개발도상국에게도 상당한 원조 및 지원을 했습니다. 이는 기축통화인 달러의 충분한 공급을 위해 무역을 통해 재정적자를 감수해야만 했고 미국의 무역적자는 시간이 지날수록 심화되었습니다. 설상가상으로 1960년대 베트남 전쟁으로 막대한 비용이 들었고 금보유량보다 더 많은 달러를 찍어내기 시작합니다. 이로써 금의 가치는 올라가고 달러의 가치는 떨어지며 미국 자국 내 인플레이션과 실업은 증가로 이어지게 됩니다. 더 이상 미국은 브레튼 우즈체제를 유지하기 힘들었으며 달러의 신뢰도 하락으로 몇몇 국가들은 미국달러를 금으로 바꾸는 금태환을 요구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미국은 금보유량 이상.. 2023. 5. 19. 양적완화(QE), 테이퍼링, 양적긴축(QT) 그리고 현대화폐이론 (MMT) 거시경제에서 정부가 개입할 수 있는 방법으로 재정정책과 통화정책이 있습니다. 재정정책은 세금, 공공사업 등의 정책을 펼치는 것이고 통화정책은 화폐와 관련된 정책입니다. 아래 양적완화, 양적긴축, 테이퍼링은 통화정책의 일환입니다. 양적완화 (QE : Quantitative Easing) 미국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벗어나기 위해 기준금리를 0%로 인하했지만 그것으로 충분하지 않아 당시 연방준비은행의 의장이었던 벤 버냉키는 양적완화 (QE)를 단행하게 됩니다. 주요 내용은 중앙은행이 시중에 있는 장기국채와 공사채, 모지기 채권( MBS; Mortgage Backed Security)을 사들이고 유동성을 공급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중앙은행이 대규모 채권 매입을 공표함에 따라 매수 대상 채권들의 금리가 .. 2023. 5. 16. 인플레이션이란? (수요견인 인플레이션, 비용인상 인플레이션) 인플레이션이란? 인플레이션이란 통화량이 팽창하여 화폐가치가 떨어지고 물가는 계속 올라 실질 소득이 감소하는 현상이라고 합니다. 통상적으로 연 물가상승률이 4~5%를 넘어서면 인플레이션으로 봅니다. 인플레이션의 종류는 수요와 공급측면으로 나눠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수요견인 인플레이션 먼저 초과 수요로 인해 일어나는 수요견인 인플레이션입니다. 즉, 재화나 서비스의 공급규모보다 구입하려는 수요량이 훨씬 많아지는 것입니다. 총공급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 총 수요 곡선이 오른쪽으로 이동하면서 재화나 서비스의 가격이 상승하게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수요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는 통화량 증가를 들 수 있습니다. 시중에 통화 공급량이 증가하면서 상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그만큼 공급이 늘지 못해 물가가 상승하게 .. 2023. 5. 16. 예금과 적금 비교, 파킹통장 특징, 시중은행 금리 비교하는 방법 적금과 예금의 비교, 무엇이 더 유리할까? 예금은 가입한 첫날 한꺼번에 돈을 넣고 만기 시 찾는 방법이고 적금은 가입첫날부터 만기까지 매번 주기적으로 돈을 넣는 방법입니다. 1년짜리 상품을 가입할 경우 예금은 첫 번째 달에 납입한 총액에 대한 1년간 이자가 붙지만, 적금의 경우 매달 돈이 나눠서 들어가니 첫 달에 넣은 돈은 1년간 이자가 붙지만 마지막 달에 넣은 돈은 1개월치의 이자만 붙습니다. 즉, 똑같은 돈이 있다면 당연히 예금에 가입하는 게 이자를 많이 받을 수 있습니다. 예금 2% vs 적금 3% 상품이 있다면 무엇이 유리할까? 총 120만원이 있을 때 1년 동안 120만 원 2%의 금리로 예금하는 것과 매월 10만 원씩 12개월 3%의 금리로 적금하는 것을 가정하여 계산해 보겠습니다. 예금의 경.. 2023. 5. 12. 이전 1 ··· 5 6 7 8 9 10 11 12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