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년부터 달라진 육아 복지정책 총정리
2025년 육아 부모에게 정부에서 다양한 정책들이 새롭게 진행 중입니다. 출산과 육아의 부담을 덜어준 지원책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봅시다.
1. 2025 부모급여제도 요약
지원대상 | 만 0세~1세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 |
지급방식 | 현금 직접 지급 or 보육료 바우처 (택1) |
지원금액 |
|
2. 2025년 아빠 육아휴직 장려금
3. 2025년 영아수당
지원대상 | 만 0세 ~ 만 1세 영아 (어린이집 미이용 아동) |
지원금액 |
|
지급방식 | 현금 지급, 부모급여와 중복불가(택1) |
4. 2025년 시간제 보육지원
지원대상 | 생후 6개월 ~ 36개월 미만 아동 |
이용방식 | 하루 3~4시간 단기 보육 (시간 단위 예약제) |
지원내용 | 시간당 3,000~4,000원 정부지원 |
신청방법 | 임신육아종합포털 ‘아이사랑’(www.childcare.go.kr) 예약 |
부모는 일부만 부담(500~1000원 수준)
이용장소는 시간제 보육 제공 어린이집(정부지정)
5. 2025년 가정양육수당
지원대상 | 만 0~5세 아동 (어린이집 미이용 가정) |
지원금액 |
|
지급방법 | 현금 지급 (계좌로 입금) * 부모급여, 영아 수당과 중복불 |
어린이집 이용 여부는 자녀 나이에 따라 선택과 신청이 다르니 중복되지 않게 잘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6. 출산, 양육가구 주거지원
신혼희망타운 특별공급 | 육아가구 특별공급 물량 확대 | 자녀수에 따라 우선공급 |
다자녀 전세자금 대출 우대 | 금리 우대 (최대 연 1.5%) | 자녀 2명 이상 |
다자녀 공공임대 우선 공급 | 국민임대·행복주택 등 우선 배정 | 자녀 수 기준 우대 |
7. 세금혜택
자녀세액공제 | 1인당 연 15만 원~30만 원 공제 | 연말정산 시 |
출산·입양 세액공제 | 출산 1명당 최대 30만 원 공제 | 소득세 절감 효과 |
이것말고도 지자체별 추가 혜택도 있으니 (출산축하금, 육아휴직장려금 등) 복지로나 정부 24 또는 거주지 행정복지센터에서 확인하고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728x90
'정부지원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실업급여 제도 개편 총정리 (0) | 2025.04.14 |
---|---|
경기도 아빠 육아휴직 장려금, 최대 150만원 지원받는 방 (1) | 2025.04.12 |
경기도 가족돌봄수당 정리 (0) | 2025.03.13 |
청년주택드림청약통장 (가입조건, 혜택, 대출, 전환가입 등) (0) | 2024.01.14 |
2024년 기초연금 (수급금액, 수급자격, 신청방법, 2024개정내용) (0) | 2024.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