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부지원책

2025년부터 달라진 육아 복지정책 총정리

by 모찌하을 2025. 4. 16.
반응형

2025년부터 달라진 육아 복지정책 총정리

육아복지정책

2025년 육아 부모에게 정부에서 다양한 정책들이 새롭게 진행 중입니다. 출산과 육아의 부담을 덜어준 지원책들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봅시다. 

 

 

1. 2025 부모급여제도 요약

지원대상 만 0세~1세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
지급방식 현금 직접 지급 or 보육료 바우처 (택1)
지원금액
  • 만 0세: 월 100만 원
  • 만 1세: 월 50만 원
    *어린이집 이용 시 현금 대신 보육료 바우처 형태로 지급
    *가정양육수장, 영아 수당 등 중복 수급은 불가

 

2. 2025년 아빠 육아휴직 장려금 

정부지원금

3. 2025년 영아수당 

지원대상 만 0세 ~ 만 1세 영아 (어린이집 미이용 아동)
지원금액
  • 만 0세: 월 50만 원
  • 만 1세: 월 30만 원 |
지급방식  현금 지급, 부모급여와 중복불가(택1)

 

 

4. 2025년 시간제 보육지원

   
지원대상 생후 6개월 ~ 36개월 미만 아동
이용방식 하루 3~4시간 단기 보육 (시간 단위 예약제)
지원내용 시간당 3,000~4,000원 정부지원
신청방법 임신육아종합포털 ‘아이사랑’(www.childcare.go.kr)  예약

 

부모는 일부만 부담(500~1000원 수준)

이용장소는 시간제 보육 제공 어린이집(정부지정)

 

5. 2025년 가정양육수당

지원대상 만 0~5세 아동 (어린이집 미이용 가정)
지원금액
  • 만 0~1세: 월 20만 원
  • 만 2~5세: 월 10만 원
지급방법 현금 지급 (계좌로 입금) 
* 부모급여, 영아 수당과 중복불

 

어린이집 이용 여부는 자녀 나이에 따라 선택과 신청이 다르니 중복되지 않게 잘 선택하시기 바랍니다. 

 

6. 출산, 양육가구 주거지원

신혼희망타운 특별공급 육아가구 특별공급 물량 확대 자녀수에 따라 우선공급
다자녀 전세자금 대출 우대 금리 우대 (최대 연 1.5%) 자녀 2명 이상
다자녀 공공임대 우선 공급 국민임대·행복주택 등 우선 배정 자녀 수 기준 우대

7. 세금혜택

자녀세액공제 1인당 연 15만 원~30만 원 공제 연말정산 시
출산·입양 세액공제 출산 1명당 최대 30만 원 공제 소득세 절감 효과

 

이것말고도 지자체별 추가 혜택도 있으니 (출산축하금, 육아휴직장려금 등) 복지로나 정부 24 또는 거주지 행정복지센터에서 확인하고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728x90